이전까지 Git Bash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했던 것을 본인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이므로, '지역 저장소'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파일이 삭제되는 경우를 대비해, 많은 개발자들은 지역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할 뿐 아니라 다른 공간에 자신의 작업물을 저장한다. 이 저장 공간을 '원격 저장소'라고 한다. 이 원격 저장소 중 하나가 우리가 많이 들어본 Git Hub이다. 

정확하게,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의미한다. 이전에는 이런 원격 저장소도 각 회사마다 각자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서 저장했지만, 2008년 2월에 출시된 이후 사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GitHub를 이용하는 이유

 

- 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편리한 GUI를 통해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
깃허브를 사용할 때에 굳이 git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git 과 GitHub를 연동해서 git bash를 통해서 GitHub를 사용할 수도 있다.

- GutHub는 온라인 상에 내가 작업한 파일을 백업해 놓을 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하거나 숨기는 것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클라우드 저장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GitHub는  다른 저장소와 달리 코드와 관련된 파일을 백업하고 버전을 관리하는 것에 최적화 되어있다. 

- 자신의 개발 이력을 남길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공개를 해놓는다면, 내가 그동한 작업한 결과물이나, 언제 개발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개발자의 포트폴리오 자체를 GitHub를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 다른 사람의 소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고, 오픈소스에 참가할 수 있다.
코드를 배우는 방법 중 하나가 다른 사람의 잘 짜여진 코드를 보고 더 효율적이고 깔끔하게 짜는 연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GitHub에 올려진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면서 공부를 할 수도 있고,  여러 오픈 소스들의 코드를 자신이 추가적인 기능을 코드를 짜 기여(Contribution)할 수도 있다. 

 

 

 

GitHub 원격저장소 만들기 

 

GitHub에 가입을 다 했다면, 원격 저장소를 만들 수 있다. GitHub에 가입한 이후에 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누르면  'New repository'라는 것을 클릭하면 새로운 원격 저장소를 만들 수 있다. 

이후에 Repository Name을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고, 간단하게 그에 대한 설명을 Description에 적은 후에  Create repository를 누르면 된다. 누르면 페이지가 넘어가는데, 아래 이미지에서 네모 박스를 친 부분을 클릭하면 옆에 있는  GitHub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할 수 있다. 이 주소는 이후에 git과 해당 Repository를 연동하는 경우 사용하게 된다.

 

 

 

Git 과 GitHub 연동하기 

 

이전처럼 git bash를 통해서 깃 저장소(loc-git)을 만들고, 그 안에서 vim을 통해서 f1.txt 파일을 생성하여 a를 입력한 후  커밋 메세지에 "add a"를 적어 커밋한다. 

$ git init loc-git
$ cd loc-git
$ vim f1.txt

$ git add f1.txt
$ git commit -m "add a"

이제 git 과 Git Hub를 연동하는데 위에서 Repository 주소를 복사했으니 복사된 주소를 이용해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

$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를 할 때 ctrl + V로는 git bash에서 실행이 되지 않으므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서 Paste를 사용한다.)

이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remote)에 origin을 추가하겠다는 명령어이고, 이 때 origin 은 뒤에 입력된 깃허브 저장 주소를 가리킨다.  원격 저장소와 제대로 연동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 git remote -v



를 입력했을 때 오류가 나지 않고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되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하기

 

$ git push -u origin master 

명령어를 처음 설정으로 입력한다. 이때 -u 옵션지역 저장소 브랜치를 Git Hub (원격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에 연결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결과가 git bash에서 출력되고, Git Hub에 해당 저장소로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면 f1.txt 파일이 업로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f1.txt 파일에 b를 추가한 다음 "add b"라는 커밋 메세지와 함께 커밋한 이후 

git push를 하면 Git Hub 저장소에 Description 이 add b인 f1.txt가 업로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vim f1.txt
$ git commit -am "add b"
$ git push

 

 

 

Git Hub로 파일 업로드 

 

저장소의 오른쪽 위에 있는 Add file 버튼을 클릭하면 Create new file과 Upload file이 있다. 기존에 만들어진 파일을 업로드 한다면 Upload file을 웹 상에서 코드를 적어서 바로 업로드 한다면 Create new file을 클릭한다. Create new file을 클릭하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파일의 이름과 내용을 적을 수 있다. f2.txt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1,2,3을 입력할 것이다. 

페이지의 아래로 내려가면 Commit new file이라는 버튼이 있는데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이 업로드 된다. 

 

 

 

 

git hub에서 파일 내려 받기 

 

f1.txt파일을 git을 통해서 GitHub에 업로드 했고, GitHub 페이지를 통해서 f2.txt 파일을 업로드 했다. 
이번에는 깃을 통해 GitHub 페이지에 있는 파일을 내려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볼 수 있는 명령어인 ls를 입력하면 f1.txt 만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Hub 페이지에는 f1과 f2 텍스트 파일이 존재하고, git에서는 f1 텍스트 파일만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격저장소인 GitHub의 내용을 git으로 가져오기 위해서 

$ git pull origin master

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여기에서 origin은 원격 저장소를 master는 Git의 master 브랜치를 의미한다. 
( $ git pull 만 입력해도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

명령어가 입력되면 f2.txt 파일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이 출력된다. 다시한번 확인하기 위해서 

$ git log

를 입력하면 "Create f2.txt"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버전 관리 >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로 협업하기  (0) 2021.01.17
GitHub 연동하기 2  (0) 2021.01.17
깃과 브랜치 3  (0) 2021.01.14
git과 브랜치 2  (0) 2021.01.13
git과 브랜치(Branch) 1  (0) 2021.01.11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