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 벌써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활동을 마치는 날이 다가왔는데요.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브라이틱스 서포터즈와 관련된 포스팅은 마치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느꼈던 것들과 서포터즈 활동을 되돌아보며 들었던 주관적인 감정들에 대해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브라이틱스를 처음 접해보며 서포터즈를 활동하면서 브라이틱스 스튜디오라는 분석 툴을 처음 접해보았는데요. 데이터분석을 꿈꾸는 많은 분들은 python인 R을 주로 사용하셨을 겁니다. 저또한 다른 언어를 주로 활용했었는데요. 브라이틱스를 접해보면서 자동화되어있는 모델링 과정이나 강력한 데이터분석 내장함수들이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다른 언어들은 코딩을 직접해야하고 분석가가 직..
삼성SDS데이터분석 검색 결과
. 안녕하세요 저는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 저번 포스팅에는 개인 프로젝트인 제주도 도로 교통량예측 데이터 EDA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Baseline Model(기준 모델)을 구현하며 분석의 기준점을 세우고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높이고자 합니다. 왜 feature engineering이 아닌 Baseline model부터 만드나요?? 기본적으로 데이터분석을 진행하신 분들은 궁금증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heavy.ai/technical-glossary/feature-engineering 맞습니다! 기본적인 분석 과정은 데이터 수집 -> EDA -> Feature engineering(변수 생성&조합) -> Modeling -..
안녕하세요!! 삼성 SDS Brightics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 저번 포스팅은 텍스트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법을 영화 리뷰 데이터를 통해서 소개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이어서 Data Modeling과 Text Analysis에 대해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Modeling이란? 먼저 모델링이라는 단어 자체에 대해 의미를 알아보자면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 즉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Data로도 진행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Ai 모델이라고도 하며 많은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들의 패턴을 분석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로는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파파고 번역기나 네이버 악성 댓글 분류들도 다 이 Ai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