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팀 영상 제작에 이어 다시 돌아온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다들 영상은 잘 보고 오셨나요? 제 발연기가 너무 부끄럽네요.. 이번 포스팅은 개인 프로젝트인데요.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브라이틱스로 분석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그럼 제가 선정한 주제와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러 갈까요? 주제 소개 "카드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고객 세분화 및 재구매주기 예측" 출처 :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hotissue/1087461/20161104143603165 big blur,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는데요. 특히 개인의 개성과 선호도가 뚜렷해져 고객을 세분화시켜 서비스를 제안..
삼성sds브라이틱스 검색 결과
안녕하세요 :) 저번주 Brightics 서포터즈 팀 미션인 홍보 영상 촬영 현장 두 번째 포스팅에 이어, 마지막 포스팅을 이어서 작성하였습니다. 저는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3조의 이상민으로 총 5명의 팀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저희 팀의 영상 주제는 MBTI 과몰입 소개팅 with 브라이틱스를 통한 MBTI 예측 였는데요. 저번주 촬영을 마치고 영상을 제작하면서 이번 포스팅은 후기와 느낀점을 주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저번 포스팅에는 촬영 현장을 소개했는데요. 이번 영상을 촬영하면서 정말 많은 회의를 거친 것 같습니다. 공식 회의만 8번?? + 비공식 a.. 8월 달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계획을 주로 수립하고 처음에는 정말 어색했지만 MBTI 얘기하면서 친해졌습니다.. 9월..
안녕하세요 :) 저번주 Brightics 서포터즈 팀 미션인 홍보 영상 제작기 첫 번째 포스팅에 이어, 두 번째 포스팅을 이어서 작성하였습니다. 저는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3조의 이상민으로 총 5명의 팀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저희 팀의 영상 주제는 MBTI 과몰입 소개팅 with 브라이틱스를 통한 MBTI 예측 였는데요. 이 주제를 가지고 이번 주는 대본을 구성하고 직접 촬영까지 했습니다! 17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신촌역에서 모여서 촬영을 진행했는데요. 촬영은 수현이의 오피스텔 건물에서 촬영했습니다. 오피스텔 굉장히 좋더라고요 대본은 총 4개의 시나리오로 구성했는데요.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첫 번째는 MBTI 과몰입에 빠진 한 사람이 소개팅 상대를 찾기 위해 회사에 문의하는 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Brightics 서포터즈의 팀 미션인 홍보 영상 제작기의 첫 번째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3기, 3조의 이상민입니다 :) 총 5명의 팀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저번 팀 분석 프로젝트였던 MBTI 예측하기의 주제를 이어서 홍보 영상으로 제작하는 프로젝트인데요. 저희 조의 홍보 영상 제작기에 대해서 지금부터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주제 선정 배경 저희 조는 노션을 통해서 회의를 진행하였고, 영상 제작에 대해서 3가지 기준을 정해봤는데요. 첫 번째는 "브라이틱스의 기능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가?" 입니다! 출처 : https://www.brightics.ai/kr/docs/ai/manual/tutorial/b19f13b94cc..
안녕하세요 :) 저번주에 머신러닝/딥러닝 모델로 MBTI분류하기에 이어 1주만에 다시 돌아온 브라이티스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이번주는 지금까지 진행한 팀프로젝트를 총집합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어떻게 브라이틱스로 MBTI를 예측하고 분석했는지 한 번 알아보러 갈까요?? 저희팀은 3~4주동안 MBTI예측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엠브레인 통계조사에서 MBTI에 대한 관심도는 무려 76.1퍼센트라고 합니다. 그만큼 MBTI에 대한 관심도가 많아, 저희는 MBTI 데이터셋들을 구해 진행했습니다. 데이터셋 설명 총 3가지의 데이터셋을 사용했습니다. 첫 번째는 MBTI별로 포스팅한 데이터셋이고, 두 번째는 국가별 MBTI 비율 세 번째는 MBTI별로 Reddit이라는 외국사이트를 이용한 내역..
안녕하세요!! 저번주에 MBTI 예측 기획 및 구상에 이어 1주만에 다시 돌아온 브라이티스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이번주는 업무분배 및 주제구체화 그리고 간단하게 브라이틱스를 이용하여 MBTI예측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그럼 어떻게 했는지 함께 알아보러 가실까요?? 저희가 정했던 프로젝트 주제는 텍스트 데이터로 MBTI예측하기였는데요. MBTI별 포스팅 : https://www.kaggle.com/code/mercurio117/mbti-500/data 국가별 MBTI 비율 : https://www.kaggle.com/datasets/yamaerenay/mbtitypes-full reddit mbti별 발자취 : https://www.kaggle.com/datasets/michaelkit..
안녕하세요!! 삼성 SDS Brightics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 저번 포스팅은 텍스트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법을 영화 리뷰 데이터를 통해서 소개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이어서 Data Modeling과 Text Analysis에 대해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Modeling이란? 먼저 모델링이라는 단어 자체에 대해 의미를 알아보자면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 즉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Data로도 진행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Ai 모델이라고도 하며 많은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들의 패턴을 분석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로는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파파고 번역기나 네이버 악성 댓글 분류들도 다 이 Ai ..
안녕하세요 :) 삼성 SDS Brightics 서포터즈 3기 이상민입니다 :) 저번 포스팅은 영화 리뷰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소개와 데이터셋 설명, Data Load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이어서 Data Preprocessing, 즉 전처리에 대해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데이터 전처리란? 데이터 전처리란 클리닝, 통합, 변환, 축소, 이산화의 과정이 있고 말 그대로 데이터를 분석 혹은 모델에 넣기 전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텍스트 데이터에서는 더욱 더 중요하게 다뤄지는데요. 이는 컴퓨터는 0과 1같은 숫자밖에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해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럼 이렇게 중요한 텍스트 데이터의 전처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저번 시간에 소개한 데이터 로드 방법에 맞..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