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에서 커밋한 파일 확인하기 앞선 글에서는 그동한 커밋한 내용들을 git log를 이용해서 확인을 했었다. 하지만, git log를 통해서는 날짜와 커밋할 때 적었던 메세지, 작성자를 제외하고 더 세부적으로는 볼 수 없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조금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적고자 한다. $ vim hello_world.txt $ vim alphabet.txt $ git status 를 통해서 hello_world.txt 파일을 수정하고 alphabet.txt파일을 생성한다. hello_world.txt파일은 "my email is ...."를 추가하고, alphabet.txt에서는 a, b, c, d를 각각 한줄씩 입력하였다. 마지막에 git status를 통해서 깃..
커밋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git에서 커밋한 파일 확인 및 수정하기
버전 관리/git & github
2021. 1. 8. 09:48
깃을 이용한 버전 관리
깃을 이용한 파일들의 버전관리는 총 3단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작업트리 - 스테이지 - 저장소 - 작업트리 : 파일들을 수정,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토리. 앞선 글에서 git init으로 저장소로 지정한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 스테이지 :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 저장소 : 스테이지에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앞선 글에서 git-repos라는 디렉토리를 git init을 통해서 깃 저장소로 지정했다. $ cd git-repos 를 통해서 그곳으로 들어간다. 현재 깃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 git status 를 입력한다. 코드를 입력해보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No commits yet'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곳에 vim을 이용해서 ..
버전 관리/git & github
2021. 1. 6. 21:35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