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까지 Git Bash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했던 것을 본인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이므로, '지역 저장소'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파일이 삭제되는 경우를 대비해, 많은 개발자들은 지역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할 뿐 아니라 다른 공간에 자신의 작업물을 저장한다. 이 저장 공간을 '원격 저장소'라고 한다. 이 원격 저장소 중 하나가 우리가 많이 들어본 Git Hub이다. 정확하게,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의미한다. 이전에는 이런 원격 저장소도 각 회사마다 각자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서 저장했지만, 2008년 2월에 출시된 이후 사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GitHub를 이용하는 이유 - 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편리한 GU..
COMMIT 검색 결과
이전 포스팅에서는 파일을 수정만 하고, 스테이징이나 커밋을 하지 않은 경우에 다시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을 스테이징 했을 때, 파일을 커밋했을 때 각각 어떤 방식으로 이전 파일 버전으로 되돌려야 하는지에 대해서 글을 쓸 것이다. 스테이징 되돌리기 이전 포스팅에서 만들었었던 alphabet.txt 파일을 vim을 통해서 기존의 내용을 삭제하고, A, B, C, D를 한줄씩 입력한다. $ vim alphabet.txt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고 나온 뒤에 alphabet.txt를 스테이징 한다. $ git add alphabet.txt $ git status git status로 출력된 글 중에서 '(use "git restore --staged ..." t..
git에서 커밋한 파일 확인하기 앞선 글에서는 그동한 커밋한 내용들을 git log를 이용해서 확인을 했었다. 하지만, git log를 통해서는 날짜와 커밋할 때 적었던 메세지, 작성자를 제외하고 더 세부적으로는 볼 수 없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조금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적고자 한다. $ vim hello_world.txt $ vim alphabet.txt $ git status 를 통해서 hello_world.txt 파일을 수정하고 alphabet.txt파일을 생성한다. hello_world.txt파일은 "my email is ...."를 추가하고, alphabet.txt에서는 a, b, c, d를 각각 한줄씩 입력하였다. 마지막에 git status를 통해서 깃..
깃을 이용한 파일들의 버전관리는 총 3단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작업트리 - 스테이지 - 저장소 - 작업트리 : 파일들을 수정,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토리. 앞선 글에서 git init으로 저장소로 지정한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 스테이지 :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 저장소 : 스테이지에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앞선 글에서 git-repos라는 디렉토리를 git init을 통해서 깃 저장소로 지정했다. $ cd git-repos 를 통해서 그곳으로 들어간다. 현재 깃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 git status 를 입력한다. 코드를 입력해보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No commits yet'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곳에 vim을 이용해서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