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디렉토리에서 원격 저장소 공유하기 프로그래밍 작업을 하는 경우 1명이 하는 경우보다 여러명이서 다같이 작업을 공동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1인 프로젝트라고 하더라도 작업하는 컴퓨터가 1대보다 많은 경우도 종종 있다.(예를 들어 집 컴퓨터와 회사 컴퓨터 등) 이런 경우에 GitHub에서는 이런 협업 관리를 어떻게 해주는지에 관해 알아보자. 일단 지역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가져와야 한다. 여기에서는 이전에 만들었던 GitHub의 test-1이라는 repository를 사용할 것이다. 초록색으로 Code라고 쓰여진 버튼을 클릭하면 clone이라는 항목에 HTTPS 에 들어가서 해당 주소를 복사할 수 있다. git bash로 들어와 홈 디렉토리에서 git_..
github 검색 결과
SSH 원격 접속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이다. 공개키(Public Key)와 비밀키(Private Key)를 사용하여, 더 안전하고 등록한 기기에서 작업을 한 후 번거로운 로그인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일단 git bash에서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그 후 공개키와 비밀키를 만드는 명령어인 ssh-keygen을 입력한다. $ cd ~ $ ssh-keygen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이 때 별도의 입력 없이 Enter를 2번 누른다. 이후에도 "Enter passphrase" 등의 설정을 하는 부분이 나타나는데 이것 또한 별도의 입력없이 Enter를 2번 누르면 공개키와 비밀키가 생성된다. 생성된 키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는 이미지에서 빨간색 ..
이전까지 Git Bash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했던 것을 본인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이므로, '지역 저장소'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파일이 삭제되는 경우를 대비해, 많은 개발자들은 지역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할 뿐 아니라 다른 공간에 자신의 작업물을 저장한다. 이 저장 공간을 '원격 저장소'라고 한다. 이 원격 저장소 중 하나가 우리가 많이 들어본 Git Hub이다. 정확하게,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의미한다. 이전에는 이런 원격 저장소도 각 회사마다 각자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서 저장했지만, 2008년 2월에 출시된 이후 사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GitHub를 이용하는 이유 - 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편리한 GU..
이전 포스팅에서는 파일을 수정만 하고, 스테이징이나 커밋을 하지 않은 경우에 다시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을 스테이징 했을 때, 파일을 커밋했을 때 각각 어떤 방식으로 이전 파일 버전으로 되돌려야 하는지에 대해서 글을 쓸 것이다. 스테이징 되돌리기 이전 포스팅에서 만들었었던 alphabet.txt 파일을 vim을 통해서 기존의 내용을 삭제하고, A, B, C, D를 한줄씩 입력한다. $ vim alphabet.txt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고 나온 뒤에 alphabet.txt를 스테이징 한다. $ git add alphabet.txt $ git status git status로 출력된 글 중에서 '(use "git restore --staged ..." t..
git에서 커밋한 파일 확인하기 앞선 글에서는 그동한 커밋한 내용들을 git log를 이용해서 확인을 했었다. 하지만, git log를 통해서는 날짜와 커밋할 때 적었던 메세지, 작성자를 제외하고 더 세부적으로는 볼 수 없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조금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적고자 한다. $ vim hello_world.txt $ vim alphabet.txt $ git status 를 통해서 hello_world.txt 파일을 수정하고 alphabet.txt파일을 생성한다. hello_world.txt파일은 "my email is ...."를 추가하고, alphabet.txt에서는 a, b, c, d를 각각 한줄씩 입력하였다. 마지막에 git status를 통해서 깃..
깃과 깃허브란? 많은 사람들이 깃, 깃허브를 사용하고 그곳에서 여러 오픈소스와 코드를 참고한다고 하지만, 아직 입문하는 이들에게는 이게 무엇인지,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깃과 깃허브는 '버전 관리', '백업', '협업'의 역할을 수행한다. - 버전 관리 : 우리가 사용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코드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임의의 이름을 지어서 파일을 생성한다면, 4~5개 정도는 기억하고 해볼만 하겠지만, 수십개 혹은 수백개의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야 한다면, 사람의 머리로는 하기 굉장히 어려울 것이다. 파일의 이름을 설정하는 것도 어려울 뿐더러, 해당 파일이 이전 파일에서 어떤 내용을 개선한 파일인지를 구별해내는 작업이 굉장히 번거롭다. 깃은 이런 점을 해결해주기 위..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