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 텐서플로우 기본 개념과 용어 2 (placeholder)
6.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 Feeding 다른 텐서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한다. 위 말의 의미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쉽게 말해서, 입력값(X)을 넣어놓을 빈 통이라고 생각 하면 된다. "플레이스 홀더(빈 통)에 입력값을 넣어주는 과정"을 피딩(Feeding)이라고 한다. ※세션을 작동시킬 때(sess.run(y, feed_dict={W: , b: })),의 형태로 모든 placeholder값을 feed_dict에 넣어주어야 한다. 왜 굳이 입력값을 플레이스 홀더라는 곳에 입력값을 넣어야 되는가? 에 대해서 내가 생각해본 결과 입력값은 여러 데이터들(수치가 정해진) 값을 포함한 형태이다.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고 값이 1개가 들어가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따라서 상수로 입력값을 받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2020. 2. 27. 13:02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