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력과 연산
출력
파이썬에서 출력하기 위한 문법은 print(출력하고 싶은 것)이다.
문자를 출력하고 싶을 때는 ""로 묶어주고, 숫자를 출력하고 싶을 땐 print(2)와 같이 그대로 쓰면 된다.
연산
+, -, *, /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왼쪽 순서대로)
//, % : 몫 나머지(왼쪽 순서대로)
- : 음수
** : 제곱수
연산 주의사항
숫자 - 숫자, 문자 - 문자끼리 연산은 가능하지만
타입이 다른 숫자 - 문자끼리의 연산은 불가능하다.
2. 변수
어떠한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위에 예제와 같이 1이라는 값을 x라는 변수로 저장하여 x <- 1이 된다.
x는 곧 1이라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변수끼리의 연산도 가능하다.
변수 주의사항
변수에서도 동일한 연산 법칙이 적용된다.
숫자 - 숫자, 문자 - 문자끼리의 연산만 가능하고
숫자 - 문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str(), int(), float()와 같은 형변환을 하면 연산이 가능하다.
str() : 문자로 바꿔주는 형변환 (string의 줄임말)
int() : 정수로 바꿔주는 형변환 (integer의 줄임말)
float() : 실수로 바꿔주는 형변환
3. 타입
먼저 타입에는 대표적으로 문자, 정수, 실수가 있다.
파이썬에서 type을 알아보는 함수는 type()으로
17이라는 값의 타입을 알고 싶으면 type(17)을 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데이터 사이언스 메뉴얼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2)(Tuple,Dictionary) (0) | 2020.03.29 |
---|---|
Python 자료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1)(List,Set) (0) | 2020.03.29 |
융합연구 1 - 조건문, 반복문 (0) | 2020.03.29 |
파이썬 클래스, Python Class (0) | 2020.03.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