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대해서 조금만 공부를 해본다면 리눅스라는 단어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많은 컴퓨터 개발자들이 리눅스를 쓰는지, 리눅스가 운영체제의 한 종류인 것은 알겠지만, 어떤 점이 특별한 건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곳이 별로 없다. 그래서 오늘 리눅스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번 다뤄볼까 한다. 

 

리눅스

이미지 출처 : https://www.deok.me/entry/Linux-%EB%A6%AC%EB%88%85%EC%8A%A4-Ubuntu-CentOS-%EC%8B%9C%EC%8A%A4%ED%85%9C-%EC%A0%95%EB%B3%B4-%EB%B0%8F-%EB%B2%84%EC%A0%84-%ED%99%95%EC%9D%B8%ED%95%98%EA%B8%B0-%EC%BB%A4%EB%84%90-OS-%EB%B2%84%EC%A0%84-%EC%A0%95%EB%B3%B4

 

[Linux] 리눅스 Ubuntu & CentOS 시스템 정보 및 버전 확인하기 ( 커널, OS 버전, 정보 )

간혹 일을 하다보면 제가 셋팅하지 않은 OS 의 버전을 확인해야 될때가 있는데요. 여기서는 간단히 시스템 정보 및 버전을 확인하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운영체제 버전 확인 cat /etc/*releas

www.deok.me

 

 

1. 리눅스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리눅스는 Linux Is Not UniX로 리누스 토발즈가 커널을 개발하여 오픈소스로 배포하고, 그 이후로는 전 세계 모든 개발자들이 리눅스의 개발에 일조를 하고 있다. 리눅스는 현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가장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름에서도 Unix라는 운영체제가 언급되듯이 Linux는 Unix와 굉장히 비슷하다.  하지만, 아주 중요한 차이점은 Unix는 유료인 대신 Linux는 무료이다. 또한, 리눅스는 무료일 뿐만 아니라 리눅스의 소스코드가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리눅스는 MS Windows Mac OS 과 같은 OS의 일종이다. 하지만 위의 운영체제들과의 차이점은 위의 운영체제들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아이콘을 기반으로 마우스와 모니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Linux는 우리가 아는 터미널을 주로 이용한다(Command Line Interface).  
당연히 그래픽을 모니터에 표현하고 해당 아이콘들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GUI버전보다 터미널 창을 열어 
명령어를 입력하여 동작하는 CLI환경을 가진 리눅스가 용량이 작고, 더 빠르며 안정적이다.

  • 무료

  • 오픈소스

  • 용량이 작고, 빠르며 안정적이다.

 

 

 

 

2. 왜 리눅스를 써야 하는가? 

 

이것을 알아보려면 리눅스가 어떤 장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위에서 우리는 리눅스의 장점과 관련된 특징들을 알아보았다. 


첫번째로, 리눅스는 Unix와 굉장히 비슷하다. Unix는 처음에 통신을 위해 개발이 되었을 정도로 네트워킹에 굉장히 강한 모습을 보인다.  당연히, Unix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Linux는 네트워크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두번째로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최근 개발에서 오픈소스를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대다수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들이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되고 있다. 당연히, 리눅스 환경에서 해당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들이 잘 돌아가는 것은 당연한 일! 

리눅스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한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o)이 굉장히 많다. (현재 480개가 넘는 리눅스 배포판들이 존재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leafcats.com/186

 

 


리눅스 배포판 각각은 큰 줄기에서는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각각의 목적에 맞게 개량된 소프트웨어이다. 당연히 이런 배포판들 대다수가 무료이고, 리눅스 사용자들은 이런 배포판을 골라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inux Foundation이라는 커뮤니티는 초기에는 리눅스 개발을 위해서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Linux Foundation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해당 프로젝트들을 금전적으로 환산했을 경우 160조 달러의 가치를 지닌다고 한다.  그 외에도 현재 Linux Foundation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의 목록들을 볼 수 있으며 리눅스에 대한 새로운 소식도 많이 접할 수 있다. (리눅스 재단 : https://www.linuxfoundation.org/)

 

리눅스 재단

 



세번째 특징과 관련해서는 용량이 작아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IoT(사물 인터넷 : TV, 자동차, 에어컨 등)에 들어가는 운영체제들에 전부 Linux가 올라갈 수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우리가 흔히 아는 Android 또한 리눅스 커널을 사용한다. 드론,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같은 기계에 어떤 프로그램을 넣고 싶을 때 굉장히 많이 쓰이는 것이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이렇게 작고 가벼운 기기들에도 최적화된 OS이지만, 스케일이 크고, 항상 안정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서버 컴퓨터에서도 리눅스가 쓰인다. 정확하게 말하면 현재 슈퍼 컴퓨터 500대 중 500대 모두 리눅스 운영체제가 사용되고 있다.

 

 

 

3. 리눅스의 단점은? 


그렇다면 리눅스는 만능일까?? 

이미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다 알고 있듯이 많은 사람들에게 아직은 낯선 운영체제이고, 데스크탑에서 리눅스가 사용되는 비율이 현저히 낮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리눅스 기반의 기기들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음에도 우리들 중 대다수는  리눅스가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인지하지도 못한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Windows 7의 서비스 중지로 인해서 여러 나라의 공공기관 등에서 무료 운영체제인  리눅스(우분투)를 정식 운영체제로 선택하는 나라들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공기관 운영체제를 리눅스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뉴스 : 정부, 공공기관 윈도PC 리눅스로 점진 교체 예고

https://zdnet.co.kr/view/?no=20190516093822)

 

728x90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에서 SQL 사용  (0) 2020.10.02
VI Editor  (0) 2020.09.05
API란?  (0) 2020.07.01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